|
 |
|
등급별 검증기준
등급 |
검증 기준 (수행 직무) |
1급 [필기+실기] |
지능정보사회에 인공지능과 IoT, 클라우드, 빅데이터, 모바일을 통해서 많은 데이터의 수집⋅축적하는
지능정보기술의 활용능력과 개인정보 유출, 사생활 침해, 사이버 위협과 같은 역기능 대응 능력 등
개개인의 정보보호 관련된 업무를 신속,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의 능력을 갖춘 중급 수준의 능력을 가진 자
|
2급 [필기+실기]
|
정보보호활용능력 1급 업무를 보조할 수 있는 기초 이론과 실무능력 등의 업무 수행 능력을 가진 자
|
3급 [필기]
|
정보보호활용능력 2급 업무를 보조할 수 있는 기초 이론과 실무능력 등의 업무 수행 능력을 가진 자
|
|
|
 |
|
출제 기준
급 |
출제 기준 |
세부 출제 기준 |
< 1급 > |
<1편> 정보보호 일반
|
1.1. 정보보호의 정의
1.2. 개인정보보호의 정의
1.3. 개인정보 위반사례 등
1.4. 정보보호 윤리 의식
1.5. 생활속의 정보보호
1.6. 국내 정보보호의 현황
1.7. 정보보호 법규
|
<2편> 정보보호 활용
|
2.1. 컴퓨터 정보보호
2.2.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정보보호
2.3. 응용프로그램 정보보호
2.4. 모바일기기 정보보호
2.5. 무선랜 정보보호
2.6. IOT, 클라우드, 빅데이터, AI 등 정보보호
2.7. 보안 시스템 운영
2.8. 보안 지원 시스템 운영
|
<3편> 정보보호 기술
|
3.1. 정보보호 분야별 대책
3.2. 암호 기본개념
3.3. 악성코드
3.4. 사이버공격 대응
3.5. 보안장비 및 솔루션의 이해
|
< 2급 >
&
< 3급 >
(공통) |
<1편> 정보보호의 개요
|
1.1. 정보보호의 정의
1.2. 정보보호 윤리의식
1.3. 정보보호 법규
|
<2편> 개인정보보호의 개요
|
2.1. 개인정보보호의 정의
2.2. 개인정보 위반사례
|
<3편> 생활 속의 정보보호
|
3.1. 컴퓨터 정보보호
3.2. 모바일기기 정보보호
3.3. 무선랜 정보보호
|
<4편> 정보보호 기술
|
4.1. 물리적, 관리적, 기술적 보호조치
4.2. 암호
4.3. 사이버공격
4.4. 악성코드
|
<5편> 지능정보사회의 정보보호
|
5.1. IOT 정보보호
5.2. 클라우드 정보보호
5.3. 빅데이터 정보보호
5.4. AI 정보보호
|
|
|